콜로키움
< 제11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"한국 자본주의의 종속적 금융화" |
일시 | 2018년 11월 24일(토) 14시 |
장소 | 이화여자대학교 ECC B138호 |
발표 | 박찬종(서울과학기술대학교) |
사회 | 조은주(명지대) *플로어 토론으로 진행 |
< 제12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가족과 통치 – 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” |
일시 | 2019년 3월 16일(토) 14시 |
장소 | 이화여자대학교 ECC B138호 |
발표 | 조은주 (명지대) |
사회 | 이희영(대구대) |
토론 | 이정은(창원대), 김주환(동국대) |
< 제13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역량강화라는 사회과학의 비전: 「한국HIV낙인지표조사」를 중심으로” |
일시 | 2019년 6월 8일(토) 16시 |
장소 |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포스코관 262호 |
발표 | 서보경(연세대) |
사회 | 이영희(가톨릭대) |
토론 | 백영경(한국방송통신대) |
< 제14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사회구성체론과 한국 자본주의: 민주변혁운동에서 인공지능 이후까지” |
일시 | 2019년 9월 28일(토) 15시 |
장소 | 이화여자대학교 ECC B144호 |
발표 | 이진경(서울과기대) |
사회 | 심보선(연세대) |
토론 | 박찬종(서울과기대), 서동진(계원예대), 배은경(서울대), 박충식(유원대) |
*14회 콜로키움은 ‘학술대회 자료’에서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. |
< 제15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코로나19와 사회전환의 패러다임” |
일시 | 2020년 6월 20일(토) 14시 |
발제 | 임운택(계명대 사회학과) – 자본주의의 전환: 전망과 과제 김철식(포스텍 인문사회학부) – 새로운 노동권의 모색 백영경(제주대 사회학과) – 페미니스트 탈성장의 관점과 돌봄이라는 화두 이태정(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) – 이주 시민권의 재구성 김재형(서울대 아시아연구소) – 혐오와 낙인의 확산 |
사회 | 추지현(서울대 사회학과) |
*제 15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은 ZOOM 화상회의로 진행했습니다. |
< 제16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트랜스젠더의 젠더정체성 구성: 커뮤니티 동학과 젠더이분법의 재생산” |
일시 | 2020년 9월 18일(금) 13시 |
발표 | 손인서(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) |
사회 | 이정연(서울여대 교양대학) |
토론 | 이호림(고려대 보건학과 박사수료) |
*제 16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은 ZOOM 화상회의로 진행했습니다. |
< 제 17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탈북민북한가족송금의 수행성과 분단 통치성” |
일시 | 2021년 3월 26일(금) 15시 |
발표 | 이지연(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) |
사회 | 이정은(창원대학교 사회학과) |
토론 | 이태정(성공회대학교 노동사연구소) |
*제 17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은 ZOOM 화상회의로 진행했습니다. |
< 제 18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 > | |
---|---|
주제 | “한국사회 진보개혁운동에 대한 성찰과 전망” |
일시 | 2021년 5월 28일(금) 15시 |
발표 1 | 다시 되돌아보는 1991년: ‘87정세의 자유주의적 포섭의 시도’와 잊힌 퇴조의 출발점 / 백승욱 (중앙대 사회학과) |
발표 2 | 지체된 전환: 87년 체제 진보정치 운동의 성찰과 과제 / 손우정 (성공회대 사회과학연구소) |
사회 | 임운택 (계명대 사회학과) |
토론 | 김민정 (성공회대 사회학과), 유팔무 (한림대 사회학과) |
*제 18회 비판사회학 콜로키움은 ZOOM 화상회의로 진행했습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