발간도서

4
세계화와 사회변동
구매링크
비판사회학 강의 제2권 『세계화와 사회변동』은 전 지구적 시각에서, 그리고 좀 긴 역사적 시점을 유지하면서 ‘사회변동’이라는 주제를 다룬다. 사회변동이라는 주제는 사회학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학계에서 잘 다루지 않고, 특히 전 지구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. 사회변동은 ‘사회가 변동한다’라는 너무나 당연해 보이는 표현을 담고 있는데, 사실은 여기서 두 단어 ‘사회’와 ‘변동’은 그렇게 자명하지 않다.
이 표현은 첫째로 ‘사회’가 변동하는 기본 단위라는 것을 은연중에 상정하고 있는데, 그렇다면 사회는 대체 어떻게 규정될 수 있을까. 그리고 두 번째로 그 사회가 ‘변동’한다면 어떤 시간대를 기준으로 어떤 정도의 변화를 중요한 학문적 ‘변동’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일까. 모든 사람이 합의할 수 있는 공통의 기준이 있는 것일까.
발간사서문
1강 사회변동 이론의 조망: 세계체계 분석과 역사적 자본주의(백승욱)2강 고전적 자유주의에서 케인스주의적 자유주의로(구본우)3강 케인스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전환(박찬종)4강 신자유주의적 전환과 금융 세계화(윤종희)5강 한국 자본주의의 변동: 발전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(김명수)
운영위원회 2023.02.16
구매링크
비판사회학 강의 제2권 『세계화와 사회변동』은 전 지구적 시각에서, 그리고 좀 긴 역사적 시점을 유지하면서 ‘사회변동’이라는 주제를 다룬다. 사회변동이라는 주제는 사회학에서 핵심적으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학계에서 잘 다루지 않고, 특히 전 지구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다루는 경우는 드물다. 사회변동은 ‘사회가 변동한다’라는 너무나 당연해 보이는 표현을 담고 있는데, 사실은 여기서 두 단어 ‘사회’와 ‘변동’은 그렇게 자명하지 않다.
이 표현은 첫째로 ‘사회’가 변동하는 기본 단위라는 것을 은연중에 상정하고 있는데, 그렇다면 사회는 대체 어떻게 규정될 수 있을까. 그리고 두 번째로 그 사회가 ‘변동’한다면 어떤 시간대를 기준으로 어떤 정도의 변화를 중요한 학문적 ‘변동’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일까. 모든 사람이 합의할 수 있는 공통의 기준이 있는 것일까.
발간사서문
1강 사회변동 이론의 조망: 세계체계 분석과 역사적 자본주의(백승욱)2강 고전적 자유주의에서 케인스주의적 자유주의로(구본우)3강 케인스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전환(박찬종)4강 신자유주의적 전환과 금융 세계화(윤종희)5강 한국 자본주의의 변동: 발전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(김명수)
운영위원회 2023.02.16

3
비판사회이론 : 경제학 비판
구매링크
비판적 연구와 실천적 변화를 위한 연구자들의 모임인 비판사회학회에서, 학교 수업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학문적 고민을 함께 사고하기 위해 ‘비판사회학교’ 강좌를 열었다. 그 결과물 중 하나인 ‘비판사회학’ 강의 시리즈 제1권 『비판사회이론: 경제학 비판』은 2021년 8월 온라인으로 개최한 ‘비판사회학교’ 강좌를 기록한 것으로, 고전사회학의 세 명의 대표적 이론가인 마르크스, 뒤르켐, 베버와 더불어, 현대 사회이론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가로 미셸 푸코와 뤼크 볼탕스키를 다룬다.
경제학의 핵심 논점을 파고들어 그것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‘비판’ 행위를 중심으로 사회학 이론을 설명한 이 책은, 사회학 연구자들은 물론 사회문제와 사회 현상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한 생각의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.
1강. 카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과 사회적인 것 _ 백승욱2강. 에밀 뒤르켐의 비판사회학과 사회적인 것, 그 의의와 한계 _ 김주환3강. 막스 베버의 『경제와 사회』에서 사회적인 것의 쟁점 _ 김성윤4강. 미셸 푸코의 비판: 공리주의, 자유주의, 고전경제학 _ 조은주5강. 뤼크 볼탕스키의 자본주의 비판과 새로운 자본주의 정신 _ 김주호
운영위원회 2023.02.16
구매링크
비판적 연구와 실천적 변화를 위한 연구자들의 모임인 비판사회학회에서, 학교 수업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학문적 고민을 함께 사고하기 위해 ‘비판사회학교’ 강좌를 열었다. 그 결과물 중 하나인 ‘비판사회학’ 강의 시리즈 제1권 『비판사회이론: 경제학 비판』은 2021년 8월 온라인으로 개최한 ‘비판사회학교’ 강좌를 기록한 것으로, 고전사회학의 세 명의 대표적 이론가인 마르크스, 뒤르켐, 베버와 더불어, 현대 사회이론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가로 미셸 푸코와 뤼크 볼탕스키를 다룬다.
경제학의 핵심 논점을 파고들어 그것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‘비판’ 행위를 중심으로 사회학 이론을 설명한 이 책은, 사회학 연구자들은 물론 사회문제와 사회 현상에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한 생각의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.
1강. 카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과 사회적인 것 _ 백승욱2강. 에밀 뒤르켐의 비판사회학과 사회적인 것, 그 의의와 한계 _ 김주환3강. 막스 베버의 『경제와 사회』에서 사회적인 것의 쟁점 _ 김성윤4강. 미셸 푸코의 비판: 공리주의, 자유주의, 고전경제학 _ 조은주5강. 뤼크 볼탕스키의 자본주의 비판과 새로운 자본주의 정신 _ 김주호
운영위원회 2023.02.16

2
산업사회의 이해 - 노동세계의 탐구
산업사회의 이해 - 노동세계의 탐구
비판사회학회 (엮음)한울출판사2018-02-15
제1부 노동과정: 작업장과 사무실에서의 각축
01 산업화 이후 노동의 역사
02 노동과정의 이론
03 작업조직의 혁신과 새로운 변화
04 노동시간을 둘러싼 각축
제2부 노동시장: 고용과 실업 그리고 차별
05 노동시장의 구조와 이론
06 고용과 실업
07 노동시장 불평등과 차별
제3부 노사관계: 협력과 갈등의 동학
08 노사관계의 이론적 이해
09 노사관계의 주체: 노동조합, 기업, 정부
10 노사관계의 구조와 제도
11 비교노사관계: 노사관계체제의 다양한 유형
12 노동운동과 노동정치
제4부 노동세계의 쟁점들
13 노동자 문화
14 젠더와 노동
15 노동과 복지
16 일과 생활
책 구매: 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133806642 운영위원회 2020.06.12
산업사회의 이해 - 노동세계의 탐구
비판사회학회 (엮음)한울출판사2018-02-15
제1부 노동과정: 작업장과 사무실에서의 각축
01 산업화 이후 노동의 역사
02 노동과정의 이론
03 작업조직의 혁신과 새로운 변화
04 노동시간을 둘러싼 각축
제2부 노동시장: 고용과 실업 그리고 차별
05 노동시장의 구조와 이론
06 고용과 실업
07 노동시장 불평등과 차별
제3부 노사관계: 협력과 갈등의 동학
08 노사관계의 이론적 이해
09 노사관계의 주체: 노동조합, 기업, 정부
10 노사관계의 구조와 제도
11 비교노사관계: 노사관계체제의 다양한 유형
12 노동운동과 노동정치
제4부 노동세계의 쟁점들
13 노동자 문화
14 젠더와 노동
15 노동과 복지
16 일과 생활
책 구매: 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133806642 운영위원회 2020.06.12

1
사회학 : 비판적 사회읽기 - 제2판
사회학: 비판적 사회읽기 ( (제2판)
비판사회학회(엮음)한울 출판사2019-11-20
제1부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
01 사회학의 관심과 사회학적 상상력
1. 사회학이란 무엇인가? / 2. 사회의 과학적 인식과 사회학적 상상력 / 3. 사회현상의 과학적 탐구와 가치
02 사회학의 형성과 발달
1. 현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전사 / 2. 사회학의 성립과 고전사회학 이론 / 3. 현대 사회학의 흐름과 한국 사회학
03 사회구조와 사회변동
1. 사회구조란 무엇인가? / 2. 사회구조와 행위 / 3. 사회는 왜, 어떻게 변화하는가? / 4. 사회변동의 이론적 쟁점 / 5. 현대사회와 사회발전 논쟁 / 6. 현대사회 변동의 성격과 미래의 전망
제2부 문화와 일상생활
04 문화와 사회화
1. 문화의 이해 / 2. 사회화의 의미와 쟁점 / 3. 사회화의 이론: 사회통합과 지배 / 4. 현대사회의 문화와 사회화: 정체성과 주체화
05 사회적 상호작용, 집단, 조직
1. 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위, 역할 / 2. 사회집단과 조직의 특성 / 3. 사회집단과 조직의 유형 / 4. 사회영역과 사회조직
06 일상생활과 소비대중문화
1. 문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/ 2.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/ 3. 소비사회와 포스트모더니티
07 젠더와 섹슈얼리티, 가족
1. 젠더와 성차, 성별 불평등 / 2. 섹슈얼리티와 친밀성의 역사적 변화 / 3. 현대사회의 사랑, 결혼과 가족의 변화 / 4. 한국 사회의 결혼과 가족, 인구
제3부 자본주의와 민주주의
08 자본주의의 원리와 역사적 변동
1. 자본주의 사회의 역사적 형성 / 2.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구조와 작동원리 / 3. 자본주의의 역사적 특수성: 생산, 시장, 위기 / 4.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 / 5.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적 발전
09 일과 노동세계
1. 자본주의 사회와 노동 / 2. 노동계급의 형성과 노사관계의 변화 / 3. 노동과정과 사회관계의 변화 / 4. 노동시장과 일자리의 변화 / 5. 한국의 공업화와 노동문제 / 6. 자본주의와 노동의 미래
10 사회불평등과 계급·계층
1. 사회불평등의 의미와 종류 / 2. 사회불평등과 계급이론 / 3. 사회계급과 사회계층 / 4. 한국 사회 불평등구조의 변화 / 5. 불평등은 필요한가? 아니면 극복되어야 하는가?
11 국가, 시민사회, 민주주의
1. 국가와 시민사회의 이해 / 2. 유럽 근·현대사회와 국가-시민사회 이론 / 3. 국가-시민사회 이론의 현대적 발전 / 4. 민주주의의 이론과 역사 / 5. 한국의 국가와 민주주의
제4부 사회문제와 사회운동
12 일탈행동과 범죄
1. 일탈행동과 범죄의 이해 / 2. 일탈행동과 사회통제 / 3. 일탈행동과 범죄에 대한 이론적 접근 / 4. 일탈행동과 범죄의 유형
13 사회문제
1. 사회문제란 무엇인가? / 2. 현대사회의 인구와 도시 / 3. 지역개발과 지역불균형 / 4. 성차별과 여성문제 / 5. 현대사회의 교육문제와 실업·빈곤문제 / 6. 사회문제의 해결 방안과 전망
14 집합행동과 사회운동
1. 집합행동이란 무엇인가? / 2.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/ 3. 현대의 사회운동 / 4. 현대 사회운동의 조직과 NGO / 5. 현대 한국의 사회운동
15 사회복지
1. 사회복지란 무엇인가? / 2. 사회복지 제도의 역사적 변천 / 3. 사회복지의 유형과 사회복지제도 / 4. 사회복지의 발달을 어떻게 볼 것인가? / 5. 한국의 사회복지: 역사와 현실
제5부 변화하는 세계와 사회학
16 매체와 지식정보
1. 매체의 발달과 지식정보사회 / 2.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산업과 노동 / 3. 지식정보사회의 정치와 경제 / 4. 지식정보사회에서의 문화와 일상생활 / 5. 지식정보사회의 미래
17 세계화와 지역화
1. 자본주의, 국민주의, 제국주의 / 2. 세계화 시대의 민족문제 / 3. 국제이주와 다문화현상 / 4. 지역화와 동아시아 / 5. 한반도의 분단과 북한사회
18 과학기술, 위험, 환경
1. 현대사회와 위험 / 2. 과학기술사회의 위험과 사회적 쟁점 / 3. 생태 위기의 원인과 생태담론 / 4. 환경문제와 사회적 쟁점 / 5. 한국의 환경문제와 환경정치
책 구매: 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219348586
운영위원회 2020.06.11
사회학: 비판적 사회읽기 ( (제2판)
비판사회학회(엮음)한울 출판사2019-11-20
제1부 사회학의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
01 사회학의 관심과 사회학적 상상력
1. 사회학이란 무엇인가? / 2. 사회의 과학적 인식과 사회학적 상상력 / 3. 사회현상의 과학적 탐구와 가치
02 사회학의 형성과 발달
1. 현대사회의 형성과 사회학의 전사 / 2. 사회학의 성립과 고전사회학 이론 / 3. 현대 사회학의 흐름과 한국 사회학
03 사회구조와 사회변동
1. 사회구조란 무엇인가? / 2. 사회구조와 행위 / 3. 사회는 왜, 어떻게 변화하는가? / 4. 사회변동의 이론적 쟁점 / 5. 현대사회와 사회발전 논쟁 / 6. 현대사회 변동의 성격과 미래의 전망
제2부 문화와 일상생활
04 문화와 사회화
1. 문화의 이해 / 2. 사회화의 의미와 쟁점 / 3. 사회화의 이론: 사회통합과 지배 / 4. 현대사회의 문화와 사회화: 정체성과 주체화
05 사회적 상호작용, 집단, 조직
1. 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위, 역할 / 2. 사회집단과 조직의 특성 / 3. 사회집단과 조직의 유형 / 4. 사회영역과 사회조직
06 일상생활과 소비대중문화
1. 문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/ 2.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/ 3. 소비사회와 포스트모더니티
07 젠더와 섹슈얼리티, 가족
1. 젠더와 성차, 성별 불평등 / 2. 섹슈얼리티와 친밀성의 역사적 변화 / 3. 현대사회의 사랑, 결혼과 가족의 변화 / 4. 한국 사회의 결혼과 가족, 인구
제3부 자본주의와 민주주의
08 자본주의의 원리와 역사적 변동
1. 자본주의 사회의 역사적 형성 / 2.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구조와 작동원리 / 3. 자본주의의 역사적 특수성: 생산, 시장, 위기 / 4.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 / 5.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적 발전
09 일과 노동세계
1. 자본주의 사회와 노동 / 2. 노동계급의 형성과 노사관계의 변화 / 3. 노동과정과 사회관계의 변화 / 4. 노동시장과 일자리의 변화 / 5. 한국의 공업화와 노동문제 / 6. 자본주의와 노동의 미래
10 사회불평등과 계급·계층
1. 사회불평등의 의미와 종류 / 2. 사회불평등과 계급이론 / 3. 사회계급과 사회계층 / 4. 한국 사회 불평등구조의 변화 / 5. 불평등은 필요한가? 아니면 극복되어야 하는가?
11 국가, 시민사회, 민주주의
1. 국가와 시민사회의 이해 / 2. 유럽 근·현대사회와 국가-시민사회 이론 / 3. 국가-시민사회 이론의 현대적 발전 / 4. 민주주의의 이론과 역사 / 5. 한국의 국가와 민주주의
제4부 사회문제와 사회운동
12 일탈행동과 범죄
1. 일탈행동과 범죄의 이해 / 2. 일탈행동과 사회통제 / 3. 일탈행동과 범죄에 대한 이론적 접근 / 4. 일탈행동과 범죄의 유형
13 사회문제
1. 사회문제란 무엇인가? / 2. 현대사회의 인구와 도시 / 3. 지역개발과 지역불균형 / 4. 성차별과 여성문제 / 5. 현대사회의 교육문제와 실업·빈곤문제 / 6. 사회문제의 해결 방안과 전망
14 집합행동과 사회운동
1. 집합행동이란 무엇인가? / 2.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/ 3. 현대의 사회운동 / 4. 현대 사회운동의 조직과 NGO / 5. 현대 한국의 사회운동
15 사회복지
1. 사회복지란 무엇인가? / 2. 사회복지 제도의 역사적 변천 / 3. 사회복지의 유형과 사회복지제도 / 4. 사회복지의 발달을 어떻게 볼 것인가? / 5. 한국의 사회복지: 역사와 현실
제5부 변화하는 세계와 사회학
16 매체와 지식정보
1. 매체의 발달과 지식정보사회 / 2.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산업과 노동 / 3. 지식정보사회의 정치와 경제 / 4. 지식정보사회에서의 문화와 일상생활 / 5. 지식정보사회의 미래
17 세계화와 지역화
1. 자본주의, 국민주의, 제국주의 / 2. 세계화 시대의 민족문제 / 3. 국제이주와 다문화현상 / 4. 지역화와 동아시아 / 5. 한반도의 분단과 북한사회
18 과학기술, 위험, 환경
1. 현대사회와 위험 / 2. 과학기술사회의 위험과 사회적 쟁점 / 3. 생태 위기의 원인과 생태담론 / 4. 환경문제와 사회적 쟁점 / 5. 한국의 환경문제와 환경정치
책 구매: https://www.aladin.co.kr/shop/wproduct.aspx?ItemId=219348586
운영위원회 2020.06.11
내용이 없습니다.